최참판 댁 실제 배경 어딜까? 조재희가 재건한 ‘화사별서’

경남 하동의 악양 땅 평사리는 한국 문단사의 최고 역작 중에 하나인 박경리의 대표 소설 <토지>의 배경이 되었던 곳이다. 섬진강을 끼고 중첩된 산을 지나다 의외로 넓은 평야지대가 나타난 곳이 평사리 앞 들판이다. 넓은 들이 있어 최참판 댁과 같은 부자가 나올 법한 곳이다. 평사리 마을 뒷산에 올라서 보면 오랜 세월 섬진강이 한곳에 비옥한 토지를 만들어 놓은 것을 볼 수 있다.

사람들이 모여 살면 항상 부대끼며 살아가는 스토리가 생기는 법이다. 박경리 선생은 이곳에 살았던 사람들의 이야기를 <토지>를 통해 그려냈는데 <토지>는 그녀가 25년간 집필한 대하소설이다. 토지의 이야기는 구한말과 일제강점기 하에서 최참판 댁을 중심으로 펼쳐지는 가족사와 민족사를 다루고 있다.

<토지>는 대지주이자 몰락해 가는 양반인 최참판 댁을 중심으로 펼쳐지는 이름 없는 민초들의 이야기로 우리 민족의 굴곡진 역사를 써 내려가듯 한말에서 일제강점기까지의 이야기를 서사적으로 그려내고 있다.

한 사람의 신념으로 이루어 놓은 의지의 결과는 실로 놀랍다 할 수 있을 것 같다. 박경리 선생은 남편과 일찍 사별하고 유방암에 걸려 어려움에 처했을 때도 이를 이겨낸 것은 토지를 써야겠다는 집념이었다고 한다.

이 <토지>를 원작으로 지난 1987년과 2004년에는 TV드라마로 인기리에 방영되었다. 평사리는 소설 속 최참판 댁과 소설에 등장하는 인물들이 살았던 집들이 민속촌처럼 복원되어 많은 관광객들이 찾는 명소가 되고 있다.

이곳에는 지난 2016년 박경리 문학관도 들어서 소설가 박경리를 기억하는 사람들은 주로 이곳을 많이 찾고 있다. 그가 태어난 고향 충무나 오랫동안 살았던 원주에 비해 이곳 평사리를 찾는 이유는 그의 대표작 <토지>가 주는 의미가 그만큼 크다는 것을 말해준다 할 것이다.

박경리 문학관에 들어서서 눈에 띄는 그림이 토지에 등장하는 인물들의 캐릭터를 묘사하여 그린 그림이다. 이 그림은 한 장의 가족사진 같은 느낌이 든다. 마치 연극이 끝나고 출연자가 함께 서있는 듯한 이 그림은 소설 토지의 내용을 잘 함축하고 있다. 박경리 선생이 남긴 유품들 속에서 박경리는 아직도 많은 사람들에게 기억되고 있다. 서사가 담긴 문학의 힘이다.

조선말기 근대한옥 ‘화사별서’

전체 내용보기


중략

기사/이미지 원본 출처 : 오마이뉴스 RSS Feed
전문 보러 가기 : https://www.ohmynews.com/NWS_Web/View/at_pg.aspx?CNTN_CD=A0002988223

사용자 리뷰:
[Total: 0 Average: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