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연 유산 마을숲, ‘동학’ 함께한 농민들 지켜준 사연

시간이 참 빠르다. 매화 흐드러진 게 엊그제 같은데, 벌써 매실이 달렸다. 휑-하던 들녘도 마늘, 양파와 유채꽃으로 생기를 띠고 있다. 산자락과 과원엔 배꽃, 사과꽃, 복숭아꽃이 활짝 피었다. 앙상하던 나뭇가지도 어느새 연둣빛 옷으로 갈아입었다. 이파리 한 줌 쥐어짜면 손바닥에 연녹색 물이 들 것 같다.

도로변 마을 앞에 나무가 길게 줄지어 있다. 팽나무가 많다. 느티나무도 보인다. 도로변 가로수이고, 마을을 보호하는 방풍림이고, 마을숲임을 금세 알 수 있다. 수령 수백 년은 족히 돼 보인다.

나무도 크고 굵다. 키 20∼30m, 가슴높이 둘레 2∼3m쯤 된다. 팽나무와 개서어나무, 느티나무 70여 그루라고 안내판에 적혀있다. 조상들이 신목(神木)으로 여기며 숭배한 당산나무이고 정자나무다. 지난 10일 이 곳을 찾았다.

문득, 옛 생각이 떠오른다. ‘팽총’을 만들어 놀던 기억이다. 팽나무 열매가 주렁주렁 달린 초여름이었다. 작은 대나무 대롱에다 팽나무 초록열매를 한 알씩 넣고 쐈다. 대나무 꼬챙이를 탁- 치면, 대롱 속 열매가 팽- 소리를 내며 날아갔다. 팽나무 이름 유래다. 열매도 맛있었다. 새순은 나물로 무쳐 먹고, 잔가지는 약재로 쓰였다.

‘청천리 팽나무와 개서어나무 숲’이다. 광목간 도로변, 전라남도 무안군 청계면 청천리에 자리하고 있다. 무안읍에서 목포 방면으로 옛 1번 국도를 타고 3㎞ 지점이다. 숲이 자연유산(천연기념물)으로 지정돼 있다. 숲에 얽힌 이야기도 전해진다.

500여 년 전, 이곳에 터를 잡은 달성 배씨와 관련된다. 마을 앞에서 불어오는 바닷바람이 거칠고 매서웠다. 농사에도 큰 피해를 줬지만, 마땅한 해결책이 없었다. 어느 날, 한 나그네가 팽나무와 개서어나무를 심으라고 했다. 세월이 흘러 나무가 무성하게 자라 바닷바람을 막아줬다는 얘기다. 시나브로 자손이 늘고, 마을도 번창했다.

전체 내용보기


중략

기사/이미지 원본 출처 : 오마이뉴스 RSS Feed
전문 보러 가기 : https://www.ohmynews.com/NWS_Web/View/at_pg.aspx?CNTN_CD=A0003022848

‘부러진 연필 조각’ 수백개, 1억 년 비경 숨겨진 섬

목포에서 105km 떨어진 신안군 만재도. 예전엔 만재도에 가려면 목포에서 5시간 30분 이상 걸렸다. 여객선 접안시설이 없어 바다에서 종선(從船)으로 갈아타고 섬에 들어가야 했다. 지금은 쾌속선을 타고 2시간 30분이면 충분하다. 2021년 접안시설과 경사식 선착장이 생겼다. 남해고속 뉴퀸호는 매일 목포항을 출발해 만재도를 거쳐 가거도까지 오간다. 만재도 주민들은 아침에 목포로 나가 일을 본 뒤 해 떨어지기 전에 돌아올 수 있다. 만재도가 목포와 하루생활권이 된 것이다.

그래도 만재도는 멀고도 작은 섬이다. 면적은 0.59㎢. 선착장에 내리면 바로 앞에 짝지해수욕장이 있고 그 뒤편으로 푸른 지붕을 한 가옥 30여 채가 보인다. 그게 마을의 전부다.

만재도는 세 개의 산으로 이뤄져 있다. 선착장에서 보면 세 개의 산은 T자로 연결되어 있다. 오른쪽(북동쪽)은 소나무가 무성한 부드러운 분위기의 마구산(176m), 가운데(서남쪽)와 왼쪽(동남쪽)은 바위 가득한 물생이산(143m)과 장바위산(135m). 마을 사람들은 마구산을 큰산, 장바위산을 앞산이라고 부른다. 물생이산과 장바위산은 그 육중함으로 분위기가 범상치 않다.

짝지해수욕장은 모래가 아니라 자그마한 몽돌이 깔려 있다. 물은 맑고 해안선은 부드럽게 휘어져 있다. 해안선 끝자락에 크고 작은 바위들이 즐비하고 장바위산으로 이어진다. 짝지해수욕장 뒤편엔 ‘만재도’ 표석이 있고 좁은 돌담길이 여러 갈래로 흩어진다. 가옥 벽체는 돌담에 감춰져 있고 파란 지붕만 보인다.

이곳은 골목골목이 모두 돌담이다. 채소밭까지 돌담으로 둘러쳐져 있다. 바닷바람을 막기 위해서다.

멀고도 작은 섬이지만 이곳 돌담 풍경은 왠지 익숙한 듯하다. TV 예능프로 ‘삼시세끼 어촌편’을 촬영한 곳이기 때문일까. 돌담길 초입엔 ‘화평이네 민박’, ‘커피 혜자네 주막’, ‘만재도 슈퍼’ 같은 간판이 보인다. 혜자네 주막 골목으로 들어가면 첫 번째 집이 삼시세끼를 촬영했던 곳이다. 커피주막과 슈퍼는 성수기 때만 간혹 문을 연다. 혜자네 주막에서 커피를 마시지 못해 좀 아쉬웠으나 햇볕 좋은 4월 초 오후, 바닷가 좁은 돌담길을 걷는 건 매력적인 경험이었다.

화려했던 가라지의 추억

섬 이름 만재도(晩財島)는 “해가 지고 나면 고기가 많이 잡힌다” “재물을 가득 실은 섬”이라는 이중의 의미를 지니고 있다. 그 이름에 걸맞게 1930~1960년대엔 돈섬, 보물섬으로 불리며 전성기를 구가했다.

당시 만재도 근해에서는 가라지가 많이 잡혀 ‘가라지 파시’가 성행했다. 전갱잇과의 가라지는 고등어보다 크고 맛이 좋아 고급 어종으로 꼽혔다. 소금으로 간을 해 말린 뒤 구워 먹으면 특히 일품이었다고 한다. 가라지는 가거도나 상태도에서는 보이지 않고 유독 만재도 인근에서만 잡혔다. 한창일 때엔 가라지를 잡는 어선, 가라지를 구입하려는 상선 200여 척이 몰려 만재도 앞바다를 가득 채웠다.

그러자 흑산도, 가거도, 맹골도, 상태도 등지에서 상인들이 들어와 해변에 천막을 치고 술집을 차렸다. 작은 섬에 그런 술집이 10여 곳을 넘었다고 한다. 만재도 펜션 운영자는 “그 시절 가라지 생선 두세 마리만 들고 가게에 가면 이것저것 여러 생필품으로 바꿔올 수 있었다”고 했다. 가라지가 얼마나 비싼 값에 팔렸는지 알 수 있는 대목이다.

그러나 1970년대 이후 가라지가 급격히 사라졌고 외지 어부들도 만재도를 떠났다. 이후 1970년대부터 주민들의 생업은 해조류 채취와 소규모 고기잡이로 바뀌었다. 여름에는 미역 전복 홍합 해삼 등을 채취하고 봄 가을에는 주낙이나 낚시로 우럭 농어 장어 등을 잡는다. 여름이 되면 선착장이나 해수욕장에서 돌미역, 홍합 등을 손질하는 주민들을 자주 볼 수 있다.

만재도 앞바다에선 열기(볼락)도 많이 잡힌다. 둘째 날 아침, 열기잡이 배가 들어오자 주민들이 선착장에서 열심히 열기를 손질하는 모습을 볼 수 있었다.

붉은색의 열기는 첫눈에도 살이 통통하고 탄력이 넘친다. 이렇게 잡아 정리한 열기는 곧바로 주문자에게 택배로 배송된다. 열기는 살도 많고 비린내도 적어 맛이 담백하며, 구이 조림 찜으로 요리하기에 좋아 미식가들이 즐겨 찾는다.

전체 내용보기


중략

기사/이미지 원본 출처 : 오마이뉴스 RSS Feed
전문 보러 가기 : https://www.ohmynews.com/NWS_Web/View/at_pg.aspx?CNTN_CD=A0003022801

4월 거제는 꽃밭… ‘차르르’ 몽돌소리 듣는 호사까지

작년, 다니던 회사의 폐업을 핑계 삼아 보름간 거제를 여행했다.

육지에 사는 이는 마음만 먹으면 언제라도 바다를 볼 수 있다는 사실이 좋았다. 게다가 몽돌해변은 가만히 앉아 있으면 둥그런 몽돌들이 파도에 밀려 데구르르 차르르르 구르는 소리가 들려왔다.

무엇보다도 ‘보름살기’는 당일치기나 1박 2일 같은 짧은 여행과는 조금 달랐다. 저녁이면 동네 농협에 가서 싱싱한 미역줄기며 굴 같은 해산물을 사다가 밥을 하고, 밥을 먹은 후에는 슬리퍼를 쓱 신고 나가서 몽돌소리를 들으며 산책을 할 수 있었다.

거제의 아름다운 여행지들을 마주했을 때의 감동도 컸지만, 그 아름다운 지역에 조금이나마 스며드는 여행을 할 수 있다는 게 좋았다. 현지인과 여행객 그 사이 어디쯤에 있는 지점이 왠지 마음에 들었다.

그렇게 보름동안이나 여행 했지만, 아직 가보지 못한 곳들이 있었다. 그래서 다시 거제를 찾았다.

거제로 떠난 봄 여행… 떨어지지 말아라, 떨어지지 말아라

여행을 앞두고 떨어지지 않기를 빌었다. 벚꽃들이 말이다. 거제로 봄여행을 떠난 터라 벚꽃도, 바다도 보고 싶은 욕심이었다.

한순간에 떨어지는 게 벚꽃인지라 마음속으로는 내심 못 볼 수도 있다는 생각을 하긴 했지만, 다행히도 그렇지 않았다.

4월 6일 여행 첫 날. 점점 더 거제에 가까워지는 중이었다. 남쪽으로 향하면 향할수록 분홍빛이 더 환하게 번져갔다. 국내 최대 벚꽃 축제하면 진해 군항제가 아닐까 싶은데, 진해뿐만이 아니라 그 근방 곳곳의 가로수가 온통 만개한 벚꽃이었다. 국내 어디를 가도 예쁠 봄이지만, “따뜻한 남쪽 나라는 다르네”라는 말이 절로 나왔다.

그리고 그 풍경은 거제에서도 이어졌다. 거제에 들어서자마자 눈부시게 화사한 벚꽃이 눈에 한가득 들어왔다. 특정 벚꽃 명소가 아니라 차들이 다니는 도로 옆 가로수가 그토록 화사했다.

덕분에 사는 곳에서 거제로 이동하기까지 꽤 장거리여서 피곤할 법했는데, 오는 길 내내 창밖 풍경이 예뻐서 몸의 피곤과는 별개로 기분이 벚꽃색을 따라 물들었다.

그렇게 한 3일 정도는 원 없이 벚꽃을 본 것 같다. 장승포 해안도로에서 능포양지암조각공원에 이르는 길은 바다를 바라볼 수 있는 벚꽃 명소였고, 고현천에서 독봉산웰빙공원으로 이어지는 산책로에도 그야말로 벚꽃이 흐드러지게 피어났다.

하지만 굳이 이런 벚꽃 명소가 아니더라도 길을 걷다 보면, 차를 타고 가다 보면 만날 수 있는 게 벚꽃이었다.

구불구불 이어지는 학동고개 벚꽃길

특히 가장 기억에 남는 곳은 학동고개 벚꽃길이다.
전체 내용보기


중략

기사/이미지 원본 출처 : 오마이뉴스 RSS Feed
전문 보러 가기 : https://www.ohmynews.com/NWS_Web/View/at_pg.aspx?CNTN_CD=A000302256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