같고도 다른 음악가들의 삶, 전쟁으로 막힌 귀향의 길

1910년과 1942년, 두 음악가가 망명하다시피 뉴욕에 도착했다.

나라를 사랑했고, 민족을 사랑했던 당시 이들의 음악에는 민족적 정서가 그대로 녹아들어 있었다. 음악성을 인정받으면서 왕성하게 활동하던 그들이었지만, 타향살이는 녹록하지 않았다. 그들의 음악과 정서는 미국의 문화와 섞이지 못하고 겉돌았다. 조국과 유럽에서 만개했던 그들의 창작력도 신대륙이라는 토지에서 좀 채 피어나지 못했다. 혁명과 전쟁의 포화가 점차 사그라들기 시작했지만, 그들의 귀향은 쉽지 않았다.

생의 마지막 궤도도 둘은 비슷했다. 암과 백혈병이라는 병마와 싸워야 했단다. 마치 하늘이 마지막 기회를 주려는 듯 병상의 그들에게 작곡 의뢰가 들어왔다. 죽음과 마주하고 있지만 그에 굴하지 않은 힘을 가진 명곡을 탄생시켰다. 평단의 호평과 관객의 찬사, 시민권을 받은 지 얼마 지나지 않아 그들은 맨해튼 묘지에 몸을 뉘었다. 라흐마니노프와 바르톡 이야기다.

망명의 이유

라흐마니노프는 러시아 혁명을 피해 미국으로 건너왔다고 알려져 있다(1918년). 세계대전이 유럽을 휘몰아치면서 고국으로도, 그가 아끼던 스위스 별장으로도 돌아가지 못했다. 그의 유명한 작품들은 대부분 러시아와 유럽에서 활동하던 시절 쓰였다. 당시 미국 음악계는 현대 음악 기법에 매료된 한편 할렘 르네상스라 불리는 흑인 문화 예술이 주류로 밀고 들어왔다. 라흐마니노프에게는 생경한 환경이었다. 그의 망명 기간 동안 소련 정부와의 사이는 당연히 껄끄러울 수밖에 없었다.

헝가리 출신 바르톡도 다르지 않았다. 그 역시 피아니스트이자 작곡가였지만 고전주의와 낭만주의의 기반 위에 민족 정서를 유려하게 표현했던 라흐마니노프와는 달리, 민속음악에서 취득한 선법을 현대 음악 기법으로 승화시켜 작품에 적극 활용했다. 그럼에도 미국에서 그의 음악은 잘 받아들여지지 못했다. 강의를 하거나 가끔 부인과 함께 피아노 연주를 하며 어렵게 살아가야 했다. 바르톡은 파시즘 자체를 극도로 싫어했기에 나치는 물론 오스트리아-헝가리 연합 체제의 우파와 척을 졌다. 나치즘이 팽창하던 시기 결국 우파의 미움을 견디지 못한 바르톡은 자유를 찾아 미국행을 결정했다(1940년).

라흐마니노프는 흑색종이라는 암으로, 바르톡은 백혈병으로 말년을 힘들게 보냈다. 투병 중인 그들에게 작품 의뢰가 들어왔다. 맨해튼 동쪽 롱아일랜드의 센터포트(Centerport) 해변에서 요양 중이던 라흐마니노프는 그곳에서 최후의 명곡 ‘교향적 무곡'(1940년)을 썼다. 그는 독실한 러시아 정교회 신자였다. 종교 음악과 민족 정서를 켜켜이 쌓아 올려 교향곡 버전과 두 대의 피아노를 위한 버전을 만들어 냈다.

피아노 버전은 생전에 그가 극찬을 아끼지 않았던 호로비츠와 함께 초연했다. 바르톡 역시 뉴욕 북부의 사라낙 호수(Saranac Lake)가 있는 요양원에서 단 7주 만에 ‘관현악을 위한 협주곡'(1943년)을 완성했다. 흥미롭게도, 그들의 마지막 곡에서야 미국의 색채가 반영 되기 시작한다. 라흐마니노프는 곡에 색소폰을 삽입했고, 바르톡은 무너지는 나치를 조롱하는 한편 미국적 분위기가 풍기도록 마지막 악장을 구성했다고 한다.

애정과 이용, 애국와 업적 사이

전체 내용보기


중략

기사/이미지 원본 출처 : 오마이뉴스 RSS Feed
전문 보러 가기 : https://www.ohmynews.com/NWS_Web/View/at_pg.aspx?CNTN_CD=A0002942749

사용자 리뷰:
[Total: 0 Average: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