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대산 노인봉 등산로에서 느껴본 화전민의 자취

우리 나이로 60이 되었다. 벌써 60이라니? 순식간이란 생각도 들지만, 죽을 고비도 있었던 짧지 않은 세월이었다. 어떻게 살았을까?

어릴 때부터 눈이 나빴다. 맨 앞에 앉아 칠판 글씨가 안 보일 정도로. 오징어 게임, 비석 치기, 땅따먹기 등 운동장에 금 그어놓고 놀던 놀이가 많았던 그 시절, 그어놓은 금이 선명하게 보이지 않았던 터라 혼자 노는 걸 더 좋아했다.

그래서 책에 매달렸다. 책조차도 부족했던 시절 책이라면 닥치는 대로 읽었다. 동네 형, 누나가 쓰던 교과서, 만화책, 학교에서 판매하던 어깨동무, 어린이 자유 등…. 글 쓰는 것도 좋아했다. 그림일기, 일기, 반공 글짓기, 웅변 원고.

4년 전 위암 판정을 받고 어이쿠 싶어 산에 오르기 시작했다. 여건이 허락하는 범위 안에서 당일치기로 갔다 올 수 있는 원주 인근 산을 올랐다. 치악산, 감악산, 명봉산, 덕고산, 태기산, 어답산, 운무산, 독재봉, 오대산, 노인봉, 구봉대산, 계방산, 제비봉, 발왕산. 등산하면서 산에 담긴 역사와 유래에 관심을 가지게 되었다.

뭐 하나 잘한다고 내세울 만한 건 없지만 책 읽고 글 쓰는 건 꾸준히 좋아했다. 치열하게 매달린 건 아니어서 특기랄 수도 없는 취미 정도다. 위암 판정 후 시작한 등산도 마찬가지다. 100대 명산 등반을 꿈꿀 정도는 아니고, 여건과 형편 닿는 만큼만 올라가자 다짐한다.

60 나이가 되었다고 달라질 건 별로 없다. 지금까지 살아온 모습처럼 살아갈 테니까. 그래도 마음속 다짐은 한다. 꾸준히 산에 오르고 책도 읽고 글도 쓰자. 산 이야기, 책 이야기, 살아온 이야기 씨줄과 날줄 삼아 글로 엮어가 보자. ‘산·책·글’이란 타이틀 걸고.

올해 처음 찾은 산이 오대산 노인봉이다. 평창 대관령면과 강릉 연곡면을 연결하는 진고개 정상에서 탐방로로 올라가면 광활한 고위평탄면이 펼쳐진다. 해발 1000m 고원이라고 믿어지지 않을 정도로 드넓은 공간이다. 철 따라 갖가지 야생화가 군락을 이룬다는데 겨울이라 볼 수 없어 아쉽다. 국립공원으로 지정되기 전에는 배추밭 등으로 이용되었고, 그 이전에는 화전민들이 살던 곳으로 알려진다.

화전민, 전란, 수탈, 재해 등으로 농경지에서 밀려난 사람들이 산속으로 들어가 불을 놓고 그 땅을 경작해서 생계를 유지하던 사람들이다. 화전민들이 겪어야 했던 애환이 고려가요 청산별곡에 생생하게 드러나 있다.

전체 내용보기


중략

기사/이미지 원본 출처 : 오마이뉴스 RSS Feed
전문 보러 가기 : http://www.ohmynews.com/NWS_Web/View/at_pg.aspx?CNTN_CD=A0002895825

사용자 리뷰:
[Total: 0 Average: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