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란-이스라엘 전쟁의 모든 것 3: 혼자 신난 네타냐후

이란 영사관이 공격받은 뒤, 막후에서 수많은 교섭이 있었다. 특히 4월 10일을 전후로 미국의 경고 메시지가 쏟아진 걸 보면, 이때 뭔가가 틀어지거나 어떤 ‘상황’이 발생했음을 알 수 있다.

캡처.JPG

출처 – (링크)

이미 4월 7일 오만을 방문한 호세인 아미르 압돌라히안(Hossein Amir-Abdollahian) 이란 외무장관이 미국 쪽으로 간접적인 메시지를 던졌다. 이렇게.

“야, 우리도 면 좀 세워야 할 것 아냐. 선빵 맞고 멈칫하면, 우리 애들이 나를 어떻게 보겠냐? 가자 지구는 영구휴전으로 하고, 만약 싸우게 되더라도 너희는 안 건들게. 이스라엘 애들한테 경고만 할게.”

시아파의 맹주 국가이자, 중동의 패권 국가로 발돋움 하기 위해 애쓰는 이란. 마음 같아선 화끈하게 전쟁을 벌이고 싶었을 것이다. 그러나 여러 가지 정황을 따져 보면, 이란에 이스라엘과의 전면전은 어렵다. 언감생심. 미국과의 전면전은 더 말할 필요도 없다.

가장 큰 문제는 경제다. 이란은 인구 규모로 세계 19위, 경제 규모로는 세계 20위권의 강대국이다. 다만, 문제는 핵 개발 문제가 얽혀 경제제재를 받으면서 실업률은 급증하고, 경제가 주춤거리고 있다는 것이다. 1인당 GDP를 보면 세계 70위권까지 떨어진다. 2020년대에는 IMF에 대출을 요구할 정도로 경제가 몰렸고(물론, 미국이 반대해서 무산됐다), 물가는 폭등하고, 환율은 박살 났다. 이 때문에 이란 국민들은 시위를 일으켰다.

이런 상황에서 이스라엘과의 전면전은 힘들다. 괜히 하마스와 헤즈볼라, 후티 반군을 동원해서 싸우는 게 아니다. 중동의 맹주를 꿈꾸지만, 지금 전면에 나서 한타 싸움을 하기에는 상황이 좋지 않다. 전면전을 할 여력이 부족하다고 보는 것이 맞다.

그렇다면 이제 이란이 생각해 볼 만한 건, 이란이 잘하는 호르무즈 해협에서의 해적질(?!) 이라든가, 미사일 쏘는 것 정도다.

참고로, 호르무즈 해협 나포는 이란의 주특기 중 하나이다. 사우디아라비아, 쿠웨이트, 이라크, 아랍에미리트 등 전 세계 원유 해상 수송량의 35%, 전 세계 석유 거래량의 20%가 호르무즈 해협을 건넌다. 이란이 여기서 해군을 동원해 유조선을 나포하거나 미사일을 쏘기만 해도 긴장감이 바짝 오른다. 그 결과 유가를 요동치게 할 수 있다.

누가 전쟁을 원하는가?

sdfsdfsd.jpg

출처 – (링크)

실제로 4월 13일, 이란은 컨테이너선 한 척을 나포했다. 컨테이너선의 선사는 이스라엘 해운 재벌이 소유한 회사였다. 슬슬 분위기를 본 거다.

4월 7일, 이란 외무장관의 발언 이후 미국이 움직이기 시작했다.

sdfsdfdsf.jpg

출처 – (링크)

“우리는 이란에 그 공격(이란 영사관 공격)은미국이 관여하지 않았다고 설명했다. (중략) 우리는 이란이 영사관 공격을 명분 삼아 지역의 위기를 고조시키거나, 미국 시설이나 미국인들을 공격하지 말라고 경고했다. (중략) 우리는 분쟁이 확산되는 걸 원치 않는다.”

-4월 11일 미 백악관 대변인 카린 장피에르(Karine Jean-Pierre)의 발언

여기서 우리가 주목해야 하는 건 세 가지다.

첫째, 영사관 공격과 미국은 무관하다고 주장했다.

둘째, 이란에 군사행동을 하지 말라고 공식적으로 경고했다.

셋째, 미국은 분쟁이 확산되는 걸 원치 않는다.

돌아가는 정황을 보면, 미국이 영사관 공격을 허락했을 확률은 낮다. 바이든 대통령은 지금 전쟁을 하나라도 줄이고 싶어 한다. 더 이상의 분쟁은 원하지 않는다. 그리고 이스라엘-하마스 분쟁에서 전쟁에 연관된 세 주체. 그러니까, 이스라엘, 미국, 이란 중 전쟁을 원하는 국가는 단 하나도 없다.

당장 이스라엘은 병력 부족에, 인질 협상에 지쳐가고 있다.


중략

기사/이미지 원본 출처 : 딴지일보 RSS Feed
전문 보러 가기 : https://www.ddanzi.com/807719444

사용자 리뷰:
[Total: 0 Average: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