펭귄에 꽂힌 사람들, 별난 마을을 만들다

광주광역시 남구에 있는 양림역사문화마을은 마을 전체가 거대한 미술관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한 마을에 있는 것치고는 상당히 많은 예술 전시관들이 들어서 있다. 미술관을 비롯해, 갤러리형 카페들까지 포함하면 그 이름을 일일이 열거하기 힘들 정도다.

여기에다가 앞서 다녀온 전통 가옥과 외국인 선교사 사택들까지 포함하면 그 수는 더 늘어난다. 그 건물들 또한 사람들이 심혈을 기울여 만들어낸 예술 작품들 중 하나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 마을에서는 전시관들을 찾아다니는 것만으로도 하루가 모자란다.

시간이 차고 넘치면 모를까, 그 많은 예술전시관 중에 어디를 먼저 가봐야 할지 결정하는 것도 큰일이다. 고심 끝에 한희원미술관, 양림미술관, 이이남스튜디오 등을 찾아간다. 이 전시관들이 양림역사문화마을이 문화를 향유하는 방식을 잘 보여준다.

이들 전시관을 관람한 뒤에는 동네 전체가 전시관이라고 할 수 있는 마을 속 마을, ‘펭귄마을’을 돌아본다. 펭귄마을은 이름도 특이하지만, 그곳에 전시된 작품들은 그보다 더 별나다. 그 외에도 양림역사문화마을에는 다양한 형태의 전시관들이 존재한다.

그중에 갤러리고철, 최씨공방늘, 515갤러리, 이강하미술관 등이 있다. 양림동역사문화에서는 또 매년 4월과 6월 사이에 ‘양림골목비엔날레’가 열린다. 마을이 온통 하나가 돼서, 한바탕 예술 축제를 벌인다. 이때는 더욱더 풍성한 작품들을 감상할 수 있다.

한희원미술관

한희원미술관은 작은 미술관이다. 얼핏 보면, 미술관이라는 생각이 들지 않는다. 외관이 여느 동네에 흔히 있는 보통 주택과 똑같다. 주택가 한가운데 자리를 잡고 있어서 구분이 더 힘든 것일 수도 있다. 전시 중인 작품도 그리 많지 않다. 하지만 이 미술관은 그게 전부가 아니다.

한희원미술관은 미술관 자체가 하나의 작품이다. 한옥의 내부 구조를 살려 미술관으로 되살렸다. 미술관 바닥에 생뚱맞게 넓적한 돌 하나가 누워 있다. 한옥을 지을 당시에 놓은 주춧돌이란다. 그런데 이 돌이 그냥 예삿돌로 보이지 않는다. 작품이 실내에만 걸려 있는 것도 아니다. 마당과 벽에도 두루 작품이 전시되어 있다.

대문도 예사롭지 않다. 대문을 어느 건축 현장에서 가져왔을 녹슨 철제 비계발판으로 만들었다. 그렇게 함으로써 작품의 영역을 대문으로까지 확장했다. 어쩐지 그 대문에서도 예술의 향기가 난다. 이 대문은 미술관의 문턱을 한없이 낮추는 역할도 한다.

한희원은 ‘존재와 시간의 문제를 작품의 주제로 삼고 시각적 조형 언어로 구현’하는 작가다. 그의 작품은 ‘강한 터치’와 ‘두꺼운 질감’이 특징이다. 그 터치와 질감이 광주 사람들이 살아온 삶의 역사를 닮았다. 미술관 대문에서마저 작가의 그런 예술관이 그대로 드러난다.

한희원은 작품 활동 초기인 1970년대 이후 ‘시사성이 담긴 주제나 민초들의 삶을 통해 시대의 아픔을 화폭으로 표현’했다. 1990년대 이후에는 ‘시적인 사유를 통한 풍경을 그리며 삶의 위로와 감성을 북돋우는 작품’들을 주로 제작했다.

한희원은 광주를 대표하는 작가 중 한 명이다. 특히 양림동에서 태어나 양림동에서 작품 활동을 하면서, 양림동을 예술가의 마을로 만들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한희원 미술관은 개인 미술관이면서도 관람료를 따로 받지 않는다.

전체 내용보기


중략

기사/이미지 원본 출처 : 오마이뉴스 RSS Feed
전문 보러 가기 : https://www.ohmynews.com/NWS_Web/View/at_pg.aspx?CNTN_CD=A0002999525

사용자 리뷰:
[Total: 0 Average: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