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 년의 과거가 현재로… 섬진강 상류, 문전옥답의 좌청룡 마을 숲

섬진강 상류의 절경인 임실 관촌면 사선대에서 동북쪽으로 4km쯤 강물을 거슬러 올라가면 방수리(芳水里) 방동(芳洞)마을에 이르는데, ‘천년고을’이라는 마을 표지석이 당당하다.

마을에는 ‘꽃다울’이란 새로운 이름이 보이는데, 이 마을 이름인 한자어 ‘방동(芳洞)’의 우리말인 ‘꽃다운 고을’을 ‘꽃다울’로 이름을 지은 듯하다. 방동마을에서 남쪽을 바라보면 1km 밖에 성미산과 공수봉이 섬진강 좌우로 우뚝 솟아서 이 마을을 지키는 수구막이 장승처럼 보인다.

방동마을 앞에는 자그마한 언덕에 30여 그루의 소나무가 기품 있는데 학이 한 마리 푸른 소나무 가지에 가볍게 내려앉으니 산뜻한 풍경이다. 송대백학(松臺白鶴)의 경치로 불리는 이곳 마을 숲은 방동마을의 안산(案山)이다.

이 마을 앞 드넓은 농토 끝자락에는 마을 숲인 장제무림(長提茂林)이 섬진강을 따라 1km 하천 제방을 이루고 있다. 이 긴 제방 숲은 때때로 홍수 지어 흐르는 섬진강의 거친 물결로부터 마을 앞의 넓은 농토를 보호하는 방수림이다.

이 숲에는 느티나무, 팽나무, 개서어나무와 왕버들 등 다양한 수종으로 수백 년 수령의 거목들이 섬진강을 따라서 폭 30~60m로 세 줄기 제방이 평행을 이루어 농수로(農水路)에 섬진강 물이 흐른다.

섬진강을 따라 쌓은 6개의 산봉우리

방동마을에서 남쪽으로 1.5km 위치의 성미산은 테뫼식 산성이 있었고, 이 산성에는 백제의 군대가 주둔하며 이 지역의 행정까지 맡았던 임실현의 치소가 있었다. 호남정맥 산맥과 감입곡류 섬진강의 물줄기가 산첩첩(山疊疊) 강첩첩(江疊疊)한 이 지역에 섬진강을 따라 6개의 산봉우리마다 산성을 쌓아서 ‘산성의 그물망’을 치고 국경을 지켰었다.

방동마을 뒷산은 호남정맥의 만덕산에서, 섬진강 건너편 방미산은 내동산에서, 마을과 들녘의 어귀를 지키는 성미산은 고덕산에서 산줄기가 내려왔으니, 감입곡류의 섬진강 상류가 흐르는 방동마을은 험준한 지형의 국경 요새에 자리 잡은 마을이었다.

이 지역의 오래된 향토 문헌인 운수지(雲水誌. 1675년)에는 방동이 임실군현의 옛 읍치였다는 기록이 나온다. 삼국시대에 백제의 국경지대였던 이곳 방동에 마을이 들어선 유래가 천 년이 넘었다.
전체 내용보기


중략

기사/이미지 원본 출처 : 오마이뉴스 RSS Feed
전문 보러 가기 : https://www.ohmynews.com/NWS_Web/View/at_pg.aspx?CNTN_CD=A0003025287

그 유명한 동백머리벽화 보셨나요? 섬 곳곳이 미술관

신안은 꽃의 섬이다. 연중 꽃이 피고 꽃 축제가 열린다. 꽃을 그린 정겨운 벽화도 많다. 신안은 대표적인 섬마다 특별한 꽃을 가꿨고 그 덕분에 섬마다 꽃에 어울리는 특유의 색깔을 입게 되었다. 라벤더 향이 가득한 보랏빛 박지도와 반월도가 대표적이다. 목포에서 다리를 건너 압해도와 암태도를 지나면 여기저기 하나둘 보라색이 나타난다. 지붕, 교량, 버스 정류장….

암태도를 빠져나와 안좌도를 거쳐 반월도와 박지도에 이르면 지천이 보랏빛이다. 주민들의 일상용품까지 보라색이다. 그래서 퍼플섬이라는 이름이 더 익숙하게 다가오는 곳이다. 보랏빛은 강렬하고 고급스러우며 은근히 환상적이다. 보랏빛은 신안의 이미지를 업그레이드하는 데 한몫 톡톡히 했다.

계절마다 형형색색, 연중 꽃축제

꽃 축제도 끊이지 않는다. 섬 겨울꽃 축제(12월 중순~1월 중순, 압해도 분재공원), 1004섬 수선화 축제(3월 중순~3월 말, 선도), 신안 튤립 축제(4월 중순~4월 말, 임자도), 유채꽃 축제(4월 중순, 지도), 수국 축제(6월 중순, 도초도), 섬 원추리꽃 축제(7월 중순, 홍도), 섬 맨드라미 축제(10~11월, 병풍도) 등.

겨울부터 이른 봄까진 신안의 어느 섬에 가도 동백을 만날 수 있다. 특히 압해도에 가면 설경 속 애기동백에 흠뻑 취할 수 있다. 압해도의 1004 섬 분재공원에 위치한 애기동백숲엔 애기동백 1만 1000여 그루가 자라고 있다.

백색의 눈 속에 점점이 피어난 붉은 애기동백들이 강렬한 여운을 남긴다. 선도에 가면 바다와 어우러진 수선화 군락이 장관을 연출한다. 선도에서 수선화를 처음 가꾼 사람은 30여 년 전 귀향한 90대의 현복순 할머니. 수선화와 여러 꽃을 정성스레 가꿔온 현복순 할머니의 아름다운 마음을 느껴볼 수 있는 곳이다.

7월이 되면 홍도 산자락에 원추리꽃이 만발한다. 원추리는 육지에서는 만나기 어려운 꽃. 섬에서만 자라는데 그중에서도 홍도에 집중적으로 서식한다. 홍도의 원추리는 공원을 조성해 가꾸는 꽃이 아니라 산 능선을 타고 자라는 꽃이어서 훨씬 더 자연스럽고 생명력이 더 충만해 보인다. 게다가 꽃이 유난히 크고 질감이 좋아 고급스러운 매력을 풍긴다. 비경의 섬 홍도의 또 다른 매력이다.

매년 10월 병풍도에선 맨드라미 축제가 열린다. 맨드라미는 7~8월 개화해 10~11월까지 꽃을 피운다. 맨드라미는 가을꽃 가운데 가장 오래 피면서 강한 생명력을 보여주는 꽃이다. 병풍도의 맨드라미는 붉고 노란 꽃들이 닭 볏처럼 피어나 더더욱 강렬한 분위기를 풍긴다.

전체 내용보기


중략

기사/이미지 원본 출처 : 오마이뉴스 RSS Feed
전문 보러 가기 : https://www.ohmynews.com/NWS_Web/View/at_pg.aspx?CNTN_CD=A0003024817

오죽헌 뒷마당에선 나무도 글을 읽나… 조선시대 두 여성의 발자취

지난25일, 강원도 강릉 오죽헌과 허난설헌 생가를 찾았다. 청명한 푸른 하늘, 봄바람에 한들거리는 초록 잎사귀들, 진한 향기를 내는 붉은 목단향이 여행객을 맞이하고 있었다. 안양문인협회에서 강릉으로 문학기행을 떠났다.

신사임당과 이이의 생가 오죽헌

첫 방문지는 오죽헌(강릉시 율곡로 3139번길 24)이었다. 이곳은 신사임당과 율곡 이이의 생가로 신사임당이 아이를 출산한 몽룡실도 있다. 오죽헌은 그리 빼어난 경치가 있는 것은 아니지만 단정했고 시야가 탁 트여 시원했다.

신사임당(1504~1551)은 조선 중기의 여성 예술가이다. 4남 3녀 중 3남인 율곡 이이는 6세까지 이곳에서 자랐다고 한다. 두 사람 모두 우리나라 화폐에 새겨져 있고 교육열이 뜨거운 우리나라에서 신사임당은 자식을 성공시키고 자신도 명예를 얻은 선망의 대상이다. 이런 경우가 흔하지 않아서 더욱더 이들 모자를 부러워하는 것 같다.

신사임당은 결혼 후에도 20년이 다 되도록 친정에서 지냈다. 신사임당에게는 아들 형제가 없어 친정아버지가 돌아가시고 홀로 된 어머니를 돌보며 아들 노릇을 했다고 한다. 조선 중기, 신사임당이 살던 시절에는 여성이 결혼 후에도 친정에 머물며 지내는 경우가 종종 있었다고 한다.

요즘이야 그런 경우가 많지만 유교 사상이 팽배한 조선시대에 딸이 친정 부모님을 모시며 자신의 재능을 발휘했다니 신사임당이 시대를 앞서가는 사람이었던 것은 분명한 것 같다. 그리고 시댁도 친정도 신사임당의 재능을 인정해서 다른 일보다도 그림에 집중할 수 있도록 특별히 더 많이 배려를 해주었을 것이다.

신사임당의 남편인 이원수도 아내의 예술 작품만큼은 자랑스럽게 여겼다고 한다. 비록 주막집 여인을 사랑하여 그녀를 후처로 맞아들였지만 말이다. 신사임당은 사망하기 전에 아이들을 생각해서 재혼은 하지 말아 달라고 유언을 남겼다. 하지만 저승에서 이원수의 마음을 돌릴 수는 없었다.

오죽헌 뒷마당에 울창한 까만 대나무숲에선 바람 따라 흔들리는 댓잎 소리가 사라락사라락 마치 책장을 넘기는 듯했다. ‘이곳에선 나무들도 글을 읽나’하는 생각이 들었다.

전체 내용보기


중략

기사/이미지 원본 출처 : 오마이뉴스 RSS Feed
전문 보러 가기 : https://www.ohmynews.com/NWS_Web/View/at_pg.aspx?CNTN_CD=A000302517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