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공 아카이브]The 살롱: 12.3 내란 진압과 윤석열 체포가 더디게 진행되는 이유는? 관저 밖 윤석열 추정 인물 등장… 모습 드러낸 의도는? 관저에서 유유자적 ‘개 산책’ 나온 김건희의 심리는?

a7274f03921c00900da6e1adb7aef3aa.jpg아래 인터뷰는 2025년 1월 10일자, “김어준의 겸손은힘들다 뉴스공장” 방송분입니다. 신속한 정보 제공을 위해 녹취에는 내용 이해에 무리가 없는 범위 내, 약간의 오타가 있을 수 있으니 이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 내용 인용 시 [김어준의 겸손은힘들다 뉴스공장] 인터뷰 내용임을 밝혀 주시기 바랍니다.

김어준의 겸손은힘들다 뉴스공장 2025년 1월 10일 금요일 [부승찬, 김규현, 이명선, 김병주, THE살롱, 금요미식회, 금요음악회(조관우)] 1-34-22 screenshot.png

▶김어준 : 자, The 살롱. 요즘은 The 살롱이 별로 안 위험한 거 같아요. (웃음)

▷전우용 : 우리는 위험한 게 아니고.

▶김어준 : 그동안 The 살롱이 가장 위험했는데 모든 방송이 The 살롱 수위로 지금 돌아가고 있기 때문에.

▷전우용 : 높이려고요? (웃음)

▶김어준 : 자, 전우용, 김태형, 강유정, 류근 네 분 나오셨습니다. 안녕하십니까.

◉김태형 : 안녕하십니까.

▣강유정 : 안녕하세요.

▶김어준 : 예전에는 이제 김태형 소장님이 가장 위험했거든요.

◍류근 : 노멀해졌죠.

▶김어준 : 김태형 소장님 수준으로 모두가 다 얘기하고 있어요, 이제는.

◍류근 : 빨리 이제 업그레이드 좀 하셔야죠.

▶김어준 : 그러니까. 상대적으로 부드러워졌어요.

◉김태형 : 뭐 그렇다고 일부러 없는 얘기를 조작할 수는 없는 거고요. 항상 사실만 얘기하겠습니다. (웃음)

▶김어준 : (웃음) 김태형 소장님이 그동안 매우 사실을 얘기했던 것으로.

◍류근 : 매우. (웃음)

▶김어준 : 매우 사실을 얘기했던 것으로. 우리는 삐, 삐 하고 막 그렇게까지 말하면 안 된다고 말렸는데 미안해요. (웃음)

◉김태형 : (웃음)

▶김어준 : 자, 오늘은 많은 사실들이 박근혜 때처럼 왜 안 되냐. 그리고 이거 내란인데 왜 이렇게 빨리 안 끝나냐. 체포 왜 이렇게 힘드냐. 내란성 불면증이라고 하잖아요. 그거 누가 지었는지 진짜 잘 지은 말이에요. 요즘에 다들 새벽에 가끔 일어나면 다시 뉴스 켜죠? 뭐 속보 없나, 잡혀 갔나, 체포 들어갔나. 안 들어갔나, 아직도? 에이. 하고 다시 끄고 자고.

◍류근 : 내란성 불면증 다음이 이제 내란성 우울증이라잖아요. 또 안 잡혀갔어? (웃음)

▶김어준 : (웃음) 그러니까. 이거 아주 진이 빠지는데 왜 이렇게 오래 걸릴까. 지지부진 할까.

김어준의 겸손은힘들다 뉴스공장 2025년 1월 10일 금요일 [부승찬, 김규현, 이명선, 김병주, THE살롱, 금요미식회, 금요음악회(조관우)] 1-36-17 screenshot.png

▷전우용 : 우리나라 사람들은 민주주의에 대립하는 말 이렇게 제시하라 그러면 공산주의나 사회주의에서 찾아요. 민주주의니까 주의랑 짝이 되겠지 생각하는 거죠. 그런데 영미권 사람들한테 데모크라시에 상대되는 말이 뭐냐 그러면 바로 autocracy, aristocracy가 나오거든요. 민주제는 독재 체제랑 대립하는 말이에요. 반독재가 민주제고요. 반민주가 독재인 거죠. 근데 우리가 이게 생각도 언어로 하기 때문에 애초에 번역을 잘못해서 민주주의라는 잘못된 번역어를 쓰다 보니까 생각도 꼬여버린 거예요. 우리가 이렇게 이걸 제대로 이해를 했다면 우리 역사가 달라져 보이거든요. 왕, 군주제. 왕조 정치도 autocracy고요. 일제강점기 천황제 군국주의로 autocracy고요. 해방 이후 군사 독재 체제, 이승만 독재 체제도 다 autocracy에요. autocracy 아래에서, 그러니까 독재 체제 아래에서 우리나라 사람들은 2,000년 넘게 살아온 거예요, 계속해서. 그럼 민주제, 데모크라시는 언제냐. 우리가 총, 칼 앞에 맨몸으로 처음 서서 평화 시위를 벌인 것이 3.1 운동 때거든요. 3.1 운동은 독립운동인 동시에 민주국가수립운동이었어요. 더 이상 이제 군주제 시대에 autocracy 밑에 살 수 없다고 해서 독립과 동시에 민주국가를 수립하려고 했고 그래서 대한민국을 세운 거란 말이에요. 그러니까 이때부터 시작해도 민주제 역사, 민주화 운동의 역사는 100년 조금 넘었어요. 다 실패했죠. 사실은 뭐 4.19도, 또 1980년 5월도. 그러니까 1987년 6월 항쟁 때 비로소 이제 우리가 민주 체제를 만들었다, 민주화 운동이 승리했다, 라고 얘기는 했지만 실상 그때부터 그 이후로 진행된 과정은 뭐냐 하면 이 민주화, 그러니까 민주화 운동 세력과 반민주 왕당파 독재 세력 사이의 타협이었어요.


중략

기사/이미지 원본 출처 : 딴지일보 RSS Feed
전문 보러 가기 : https://www.ddanzi.com/831551569

사용자 리뷰:
[Total: 0 Average: 0]